본문 바로가기
돈되는정책

2025 중기부(중소벤처기업부) 지원계획 발표 정리

by 경제트렌드 연구소 2025. 1. 14.
반응형

 

 

 

 

2025 중기부(중소벤처기업부) 지원계획 발표 정리

 

 

 

목차

1. 민생경제 활력 회복

2. 혁신과 스케일업

3. 선제적 미래 대응

4. 2025년 주요 정책 방향 요약

 

 

 

 

1. 민생경제 활력 회복

소상공인 지원 강화:

채무 부담 완화를 위한 전환보증 3조 2000억 원 공급.

30개 채무조정센터 신설 및 신속한 회생 절차 지원.

‘소상공인 희망 충전 프로젝트’로 성실 상환자 추가 혜택 제공.

 

환율 피해 중소기업 지원:

1조 5000억 원 정책자금 지원.

납품대금 환율변동 반영 컨설팅 제공.

 

내수 활성화:

온누리상품권 발행 확대(5조 5000억 원, 역대 최대 규모).

대규모 소비축제 ‘동행축제’ 연간 4회 개최.

공항 내 중소기업 제품 면세점 확대(3개 → 6개).

 

 

2. 혁신과 스케일업

스타트업 육성:

첨단 스타트업 1000개 발굴 및 지원.

‘밸류업 펀드’ 신설 및 글로벌 진출 거점 조성(실리콘밸리).

 

디지털 전환 촉진:

소상공인 디지털화 로드맵 수립 및 1만 3000명 지원.

매장 관리 구독형 SW, 키오스크 보급 확대.

 

벤처 투자 활성화:

모태펀드 출자사업으로 1조 원 신규 조성.

글로벌 펀드 1조 원 추가 조성.

 

 

3. 선제적 미래 대응

지역 경제 활성화: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 신규 지정(2곳).

지역별 벤처펀드 조성(3년간 1조 원).

 

수출 지원 강화:

‘K-뷰티 글로벌 펀드’ 조성.

한류 기반 콘텐츠의 신시장 개척 확대.

 

지속 가능성 강화:

전통시장 디지털화 및 역사적 가치를 반영한 랜드마크화.

 

 

Q&A

소상공인 채무조정센터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 소상공인의 파산·회생 절차를 신속히 지원하며, 채무 부담을 덜어주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온누리상품권 발행 확대는 소비자와 소상공인에게 어떤 효과가 있나요?

→ 소비자는 할인 혜택을 받고,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 구독형 SW, 키오스크 보급, 글로벌 유통망 활용 등 맞춤형 지원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계획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 및 경제 활력 회복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화와 글로벌화 지원이 강조되고 있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중소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