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중기부(중소벤처기업부) 지원계획 발표 정리
목차
1. 민생경제 활력 회복
2. 혁신과 스케일업
3. 선제적 미래 대응
4. 2025년 주요 정책 방향 요약
1. 민생경제 활력 회복
소상공인 지원 강화:
채무 부담 완화를 위한 전환보증 3조 2000억 원 공급.
30개 채무조정센터 신설 및 신속한 회생 절차 지원.
‘소상공인 희망 충전 프로젝트’로 성실 상환자 추가 혜택 제공.
환율 피해 중소기업 지원:
1조 5000억 원 정책자금 지원.
납품대금 환율변동 반영 컨설팅 제공.
내수 활성화:
온누리상품권 발행 확대(5조 5000억 원, 역대 최대 규모).
대규모 소비축제 ‘동행축제’ 연간 4회 개최.
공항 내 중소기업 제품 면세점 확대(3개 → 6개).
2. 혁신과 스케일업
스타트업 육성:
첨단 스타트업 1000개 발굴 및 지원.
‘밸류업 펀드’ 신설 및 글로벌 진출 거점 조성(실리콘밸리).
디지털 전환 촉진:
소상공인 디지털화 로드맵 수립 및 1만 3000명 지원.
매장 관리 구독형 SW, 키오스크 보급 확대.
벤처 투자 활성화:
모태펀드 출자사업으로 1조 원 신규 조성.
글로벌 펀드 1조 원 추가 조성.
3. 선제적 미래 대응
지역 경제 활성화: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 신규 지정(2곳).
지역별 벤처펀드 조성(3년간 1조 원).
수출 지원 강화:
‘K-뷰티 글로벌 펀드’ 조성.
한류 기반 콘텐츠의 신시장 개척 확대.
지속 가능성 강화:
전통시장 디지털화 및 역사적 가치를 반영한 랜드마크화.
Q&A
소상공인 채무조정센터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 소상공인의 파산·회생 절차를 신속히 지원하며, 채무 부담을 덜어주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온누리상품권 발행 확대는 소비자와 소상공인에게 어떤 효과가 있나요?
→ 소비자는 할인 혜택을 받고,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 구독형 SW, 키오스크 보급, 글로벌 유통망 활용 등 맞춤형 지원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계획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 및 경제 활력 회복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화와 글로벌화 지원이 강조되고 있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중소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돈되는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체부 2025년 추진계획 주요 내용 요약 총정리 (2) | 2025.01.20 |
---|---|
2025년 새롭게 달라지는 정부지원 정책 모음 (0) | 2025.01.16 |
2025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소상공인과 금융소비자를 위한 혜택 총정리 (0) | 2025.01.15 |
2025 달라지는 출산 육아 지원제도(꼭 읽어보세요) (1) | 2025.01.14 |
2025 다자녀가구 혜택 : 대중교통 K-패스 (1) | 2025.01.13 |